분류 전체보기257 갈매기살? 갈매기도 먹어? * 위 사진을 클릭하거나 아래 URL 주소를 클릭하면 해당 영상으로 이동합니다. ^^(경희사이버대학교 한국어문화학부 김지형 교수님의 소중한 교육자료입니다. 구독, 좋아요, 알림설정!) https://youtu.be/fsTtkltJ59c?si=cu5CO20QfdmluYmB 학교 앞 분식 대표 주자였던 #떡볶이! 이제는 #K-food의 대표 주자가 되었다. 떡볶이는 볶는 음식이 아닌데 왜 #떡볶이로 불리게 되었을까? 알고 먹으면 더 맛있는 #K-food 대표주자 #떡볶이! 한국어 마을에서 함께 알아보도록 하자. #떡볶이 #Tteokbokki #K-food #김지형 #한국어마을 #한국어 #어원 #유래 #떡볶이유래 #떡볶이어원 2025. 4. 12. 인지부하를 줄이는 수업 전략 - TM 노트필기 깊이 있는 학습이 고차적 사고력을 지향하지만, 그것을 위한 수단으로 강의식 수업은 꼭 필요합니다. 특히, 한국어나 역사수업 같은 기초적인 지식의 습득이 중요한 학습 과목에서는 강의식 수업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강의식 수업을 학생들이 힘들어하는 이유는 작업기억(단기기억)의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학생의 작업기억(단기기억)에서 한 번에 처리 가능한 정보가 3~5개(초등수준, 청크단위)인데 비하여 수업 시간에 쏟아지는 정보가 많기 때문입니다. 학습 내용 뿐만 아니라, 학생의 일상에 대한 정보(쉬는 시간에 있었던 재밌는 일, 근심걱정거리 등)가 그들의 작업 기억을 차지하여 학습을 방해합니다.따라서, 많은 정보를 감당하려면 단기기억/작업기억 상에 정보처리의 적체가 일어 나지 않도록 정보를 장기기억으로.. 2025. 4. 10. 김유신-한 장으로 만나는 인물 한국사 삼국토일을 이룬신라의 무신 김유신에 대해 알아볼까요? 📖 제작: 택카데미 2025. 4. 10. 학을 떼다? * 위 사진을 클릭하거나 아래 URL 주소를 클릭하면 해당 영상으로 이동합니다. ^^(경희사이버대학교 한국어문화학부 김지형 교수님의 소중한 교육자료입니다. 구독, 좋아요, 알림설정!) https://youtu.be/DtfJ1R90TLE?si=Izw9Ka4i75ZtBDnr #원경왕후 #한국어 #김지형살다 보면 종종 마주하게 되는 고난들, 천신만고 끝에 이겨내거나 해결되었을 때 '학을 떼다'라는 말을 쓰게 된다. 의미는 알 것 같지만 곰곰이 생각해 보면 이상한 말이기도 하다. '학을 떼다?' 무엇을 어디에서 떼어낸다는 말일까? 이 말의 유래와 의미를 알아보자! #김지형 #한국어마을 #한국어 #어원 #유래 #학을떼다 #학질 #떡볶이어원 2025. 4. 5. [알려주고 싶은 우리 '순우리말'] 뽀로로 [알려주고 싶은 우리 '순우리말'] 뽀로로[알려주고 싶은 우리 '순우리말']에서는 소개해드리고 싶은 예쁜 순우리말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순우리말의 뜻을 알아보고, 배운 말을 사용하여 예시를 만든 후 그림으로 나타내어 봅시다!💡활동지 자료💡 📖 제작 : 효주쌤의 학교만물상 (tistory.com) 2025. 4. 1. [단위명사] 단위명사 개, 명, 마리 익히기 l Unit Nouns ♥️ 단위명사 개, 명, 마리를 배워 퀴즈를 풀고, 활동지를 활용해 배운 단어를 읽고 써 봅시다. 🎥 단위명사 퀴즈 | 개, 명, 마리 🎥https://youtu.be/xUovO425nVo 📖 단위명사 활동지 | 개, 명, 마리 📖 🫰🏻 제작. 멀티쌤 2025. 4. 1. 수업 자료 꾸러미 : 한글로 세계여행(총 13차시) - 연간 구독 회원 전용 이 자료는 연간 구독을 신청하신 회원들에 한해 제공되는 자료임을 확인 부탁드립니다. 연간 구독 관련 링크 : https://i-kea.tistory.com/258" data-og-description="안녕하세요。 국제한국어교육자연구회 이사장 김택수입니다。 지난 4년동안 정말 수많은 연수와 교육자료를 전 세계 한국어, 한국문확, 한국사를 사랑하는분들에게 무료로 제공해 드렸습" data-og-host="i-kea.tistory.com" data-og-source-url="https://i-kea.tistory.com/258" data-og-url="https://i-kea.tistory.com/258" data-og-image="https://scrap.kakaocdn.net/dn/v7gTp/hyYxQL.. 2025. 3. 31. 외국인에게 신기한 한국 문화 : 스몸비족을 위하여 * 위 사진을 클릭하거나 아래 URL 주소를 클릭하면 해당 영상으로 이동합니다. ^^(경희사이버대학교 한국어문화학부 김지형 교수님의 소중한 교육자료입니다. 구독, 좋아요, 알림설정!) https://youtu.be/3FDdWcZczgw?si=dPokhA-gAp5rdOki 현대인에게 #스마트폰은 신체의 일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침 출근길 혹은 등굣길에 가장 무서운 일은 스마트폰을 집에 두고 오는 것이다. 길을 건널 때에도 스마트폰을 손에서 놓지 않는 현대인의 모습에 #스몸비족 이라는 신조어가 생기기도 했다. 스몸비족을 위해 고안된 #스마트 #횡단보도. 외국인들에게 #k-신호등으로 불리는 일상 속 #문화를 살펴본다. 이 내용은 #티스토리블로그 #https://jmhw97.tistory.com/8에서도.. 2025. 3. 29. 왜 꿩 대신 닭일까? * 위 사진을 클릭하거나 아래 URL 주소를 클릭하면 해당 영상으로 이동합니다. ^^(경희사이버대학교 한국어문화학부 김지형 교수님의 소중한 교육자료입니다. 구독, 좋아요, 알림설정!) https://youtu.be/iew-HEDF0vA?si=z6QXbEn2JFUFWWH 한국어 가운데 '딱 적당한 것이 없을 때 그와 비슷한 것으로 대신하는 경우'를 말할 때 흔히 #꿩 대신 #닭 이라는 말을 쓴다. 요즘은 #k-chicken으로 알려진 닭이 더 맛있는데, 어쩌다 '꿩 대신 닭'이라는 말을 쓰게 되었을까? #떡볶이에 이은 알.면.더.맛(알고 먹으면 더 맛있는 음식) '떡국'과 '꿩 대신 닭'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자. #꿩 #닭 #떡국 #설날 #장끼 #까투리 #꺼병이 #꺼벙이 #김지형 #한국어마을 #한국어 .. 2025. 3. 22. 이전 1 2 3 4 ··· 29 다음